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분류 전체보기387

DQL(질의어)데이터 조회 - Collection 프레임워크의 일부로 List 인터페이스에서 상속받아 사용된다 - java.util 패키지에 포함되어 제공 - 기본 크기는 10이지만 객체가 추가되어 용량을 초과하면 자동으로 부족한 크기만큼 용량이 늘어난다 - 기본 Object형으로 반환 - 배열의 특징으로 인해 조회가 빠르지만, 삽입/삭제가 느리다 1. Select 문 ArrayList list = new ArrayList(); 2. ArrayList 값 추가 - 기본형은 추가 불가능하다. wrapper클래스 사용하여 추가 (오토박싱 가능) add(Object) : ArrayList의 마지막에 데이터를 추가 add(int index, Object) : ArrayList의 index에 데이터를 추가 --SELECT 컬럼명 --FRO.. 2022. 10. 19.
Collection(Set) - 특징 : - 순서를 가지지 않음 - 중복을 허용하지 않음 1. HashSet :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Set 자료구조 2. LinkedHashSet : Set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순서를 가지지 않지만 LinkedHashSet은 중복은 허용되지 않지만 들어온 대로 순서를 가진다. 3. TreeSet : 데이터를 정렬하여 저장 4. Queue : FIFO(First-In-First-Out) 구조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데 서로 다른 객체로 인식하여 중복 입력되는 것을 막기위해 hashcode, equals 오버라이딩을 필요로 한다. //hash특징과 set특징이 합쳐짐 //Set : 데이터 들어가는 순서가 랜덤, 중복되는 값 입력 불가 /* //HashSet set = new .. 2022. 10. 12.
Properties - java.util.Properties 클래스 - 파일 입출력을 지원 - HashMap의 구버전인 Hashtables을 상속받았기 때문에 서브클래스 Map의 key와 values를 String 형태로 가짐 - String 형태로 get, set, put 메소드 제공 - 중복을 허용하지 않음 1. 선언 Properties prop = new Properties(); 2. 데이터 삽입 : setProperty prop.setProperty("myid", "1234"); prop.setProperty("qwer", "1244"); prop.setProperty("qwer", "1111"); 3. 데이터 가져오기 : getProperty (입력 타입 그대로) String value = prop.getPrope.. 2022. 10. 12.
Collection(Map) - 특징 : - 순서를 가지지 않는다 - key와 value 가 쌍으로 이루어진다 - key는 중복이 안되나, value는 중복이 가능하다 - 키가 중복되는 데이터가 있을 때 마지막 데이터값을 저장한다 1. HashMap :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Map 자료구조 2. HashTable : HashMap과 동일하나 Thread-Safe 해 동기화를 지원 3. LinkedHashMap : 순서를 가지지 않는 Map 자료구조와 달리 LinkedHashMap은 들어온 순서대로 순서를 가짐 4. TreeMap : TreeSet과 같이 정렬하여 데이터를 저장 -> 데이터 저장시 정렬로 인해 저장 시간이 다른 자료구조 대비 오래걸림 1. 선언 HashMap map = new HashMap() 2. 데이터 삽입 :.. 2022. 10. 12.
Iterator (반복자 패턴) - 자바의 컬렉션에 저장되어 있는 요소들을 읽어오는 인터페이스 - Collection 인터페이스를 상속받는 List와 Set 인터페이스에서도 iterator() 메소드 사용 주요 메서드 1. 선언 Iterator it = list.iterator(); 2. 데이터 존재 유무 확인 : hasNext() - 해당 이터레이션(iteration)이 다음 요소를 가지고 있으면 true를 반환하고, 더 이상 다음 요소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함. 3. 다음 요소를 반환 : next() 4. 반환되는 마지막 요소를 제거 : remove() - 리스트를 반복자(iterator)를 사용하여 순회 while(it.hasNext()){ String str = (Strin.. 2022. 10. 11.
제네릭과 컬렉션 - 다수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하는 클래스의 집합 - 컬렉션 프레임워크는 자바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구현 - 배열이 가진 고정 크기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가변 크기의 컨테이너로 객체의 개수 고려 하지 않아도 된다- 컬렉션 내의 한 객체가 삭제되면 컬렉션이 자동으로 자리를 올겨준다 주요 인터페이스 List : 순서가 있는 데이터 집합, 데이터 중복 허용 (Vector, ArrayList, LinkedList, Stack, Queue) Set : 순서가 없는 데이터 집합, 데이터 중복 불허 (HashSet, TreeSet) Map : 키와 값이 쌍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집합, 순서가 없음. 키는 중복될 수 없지만.. 2022. 10. 11.
반응형